300x250

윈도우 이미지 백업, 쉽게 따라할 수 있어요

 

 

 

윈도우는 사용하다 보면 점점 무거워 집니다. 최적화 소프트웨어, 클린 소프트웨어 등으로 청소를 해주어요 점점 무거워 집니다. 따라서 속도도 점점 느려집니다. 따라서 최적화된 상태의 윈도우를 백업했다가 복원하면 손 쉽게 원래의 상태로 되 돌릴 수 있습니다. 윈도우 이미지 백업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먼저 장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이미지 백업의 점

 

윈도우 이미지 백업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아무래도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백업 기능이다 보니 신뢰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기를 원하지 않는 분들에게도 큰 장점 입니다. 무엇보다 무료라는 점입니다. 윈도우 운영체제 자체가 유료이긴 하지만요.

대형기업에서 출시하는 노트북은 대개 이미지 백업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복원하는 기능도 상세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야하고, 인터넷 뱅킹, 온라인 경제 등등 위해서도 보안 프로그램에서부터 각종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에 맞는 PC환경(배경화면)을 셋팅하고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등 최적의 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백업한다면 다시 복원했을 때 일일히 다시 설정하고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윈도우 이미지 백업 방법

 

그럼 이제 어떻게 이미지 백업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먼저 제어판을 열어 주세요.

 

윈도우10에서는 "시작"버튼을 클릭 후 키보드로 "제어판"이라고 입력해 주세요. 검색된 제어판 항목을 클릭해 주세요. 윈도우7에서는 시작 > 실행 > "제어판"을 입력해 주세요. 제어판에서 백업 및 복원을 클릭해 주세요.

백업 및 복원 창의 왼쪽을 보시면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 메뉴 항목이 보입니다. 이 메뉴를 클릭해 주세요. 그 아래에는 시스템 복구 디스크 만들기가 있습니다. 외장하디스크, 또는 USB등을 통해 복구 디스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컴퓨터가 먹통이 되었을 때 즉 윈도우로 부팅이 되지 않을 때, 이 복구 디스크를 통해 부팅하면서 기존에 만들었던 시스템 이미지를 통해 복구 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이미지 백업을 저장할 위치를 선택해 주세요. 외장하드 같은 이동식 디스크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다면 기본적으로 이동식 디스크가 선택이 되어집니다. 만약 DVD기록이 가능한 컴퓨터 노트북이라면, 여러장의 DVD를 준비하여 기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장의 DVD를 구입하는 것보다는 USB디스크를 구입하는게 더 저렴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DVD에 저장하면 오랜 기간 보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복원시 여러장을 계속 바꾸어 가며 넣어주어야 복원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저장장치마다 장단점이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다음을 클릭해 주세요.

어떤 드라이브가 백업이 되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두 파티션이 목록으로 나옵니다. 백업 시작을 클릭하시면 백업 과정이 진행됩니다. C드라이브 사용 용량에 따라 백업 시간이 달라 집니다. 저의 경우에는 각종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등등을 설치하고 백업을 진해하니 기본 40기가 바이트가 넘어 갑니다. 따라서 백업 장치 역시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40기가 기준으로 백업 시간이 대략 30분정도 걸리는 것 같습니다. HDD하드디스크라면 더 오래걸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SSD디스크의 내용을 HDD외장이동디스크에 백업하는 시간이 약 30분정도 걸렸습니다. 만약 저장매채가 HDD가 아니라 SDD디스크라면 윈도우 이미지 백업 속도가 더 빠를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300x250

+ Recent posts